ESL: Ch 6. Kernel Smoothing Methods
Contents
6.1 One-Dimensional Kernel Smoothers
6.2 Selecting the Width of the Kernel
6.3 Local Regression in $\mathbb{R}^p$
6.4 Structured Local Regression Models in $\mathbb{R}^p$
6.5 Local Likelihood and Other Models
6.6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6.7 Radial Basis Functions and Kernels
6.8 Mixture Models for Density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6.9 Computational Considerations
이 챕터에서는 $p$개의 input feature들($X \in \mathbb{R}^p$)에 대해 정의된 true regression function $f(X)$를 좀 더 flexible하게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간단히 소개하자면, 가까운 점들만을 이용하거나 가까운 점일 수록 더 큰 영향을 주도록 하는 Localization을 이용할 것이며, 추정된 $\hat{f}(X)$가 $\mathbb{R}^p$ 상의 부드러운(smooth) 곡선이 되도록 할 것이다. Localization은 Kernel이라는 일종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달성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regression function $f(X)$를 추정하는 방법을 Kernel smoothing method라고 한다.
6.1 One-Dimensional Kernel Smoothers
이 장에서는 input feature가 한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경우의 Kernel smoothing method에 대해 소개한다. 주변 점들에 weight를 부여햐는 kernel 함수에 대한 감을 얻기 위해, 먼저 $k$-Nearest-Neighbor average를 이용해 regression function $f(X)$를 추정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k$-Nearest Neighbor Average
$x=x_0$에서의 $k$-Nearest-Neighbor averag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at{f}(x_0)=Ave(y_i \mid x_i \in N_k(x_0))\]$N_k(x)$는 training set 내의 점들 중, $x$로부터 가장 가까운 $k$개의 점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x=x_0$에서의 $k$-Nearest-Neighbor average는 $x_0$로부터 가장 가까운 $k$개의 점들의 $y$값을 평균낸 값으로 구한다. 이를 정의역 내 모든 $x$ 값에 대해 수행하여 regression function $f(x)$를 추정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30$-Nearest Neighbor average를 수행하여 true function $f(x)$를 추정한 그림이다. 즉, $x_0$로부터 가장 가까운 $30$개의 점들의 $y$값을 평균낸 값으로 $x_0$에서의 fitted value를 구한 것이다.
초록색 곡선이 $30$-Nearest Neighbor average로 도출한 regression function의 추정치, $\hat{f}(x)$이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점은 $x_0$에서 가장 가까운 점 30개에 포함된 점, 즉 $\hat{f}(x_0)$ 계산에 영향을 준 점들인데, 높이가 평평한 노랑색 직사각형으로 표시된 것은 $N_{30}(x_0)$ 안에서는 동등한 weight로 $\hat{f}(x_0)$ 계산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은 이후의 다른 모형과 비교를 할 때 더 설명하겠다. 그런데 $k$-Nearest Neighbor average는 위에서와 같이 불연속점이 많고 울퉁불퉁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k$-Nearest Neighborhood에 새로운 점이 들어오고 한 점이 나가는 순간마다, $\hat{f}(x)$에의 영향에 대한 weight가 불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Nadaraya-Watson Kernel-weighted Average
가장 간단한 Kernel smoother라고 할 수 있는 Nadaraya-Watson kernel-weighted average에 대해 살펴보자. $x=x_0$에서의 N-W kernel-weighted averag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frac{K_\lambda (x_0,x_i)}{\sum_{i=1}^{N} K_\lambda (x_0,x_i)}$는 training set 내의 $N$개의 점들이 $x=x_0$일 때의 fitted value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내는 weight가 되고, 그 weight에 따라 가중평균하는 방식으로 fitted value를 결정하게 된다.
\[\hat{f}(x_0)= \sum_{i=1}^{N} \frac{K_\lambda (x_0,x_i)}{\sum_{i=1}^{N} K_\lambda (x_0,x_i)} y_i\] \[K_\lambda (x_0,x)=D \Big( \frac{\mid x-x_0\mid}{\lambda} \Big)\] \[D(t)=\begin{cases} \frac{3}{4} (1-t^2) &\quad\text{if } |t| \le 1\\ 0 &\quad\text{otherwise} \\ \end{cases}\]여기서 Kernel, $K_\lambda (x_0,x_i)$는 $x_i$가 $x_0$와 가까울 수록 큰 값을 갖고, $x_0$로부터 멀 수록 작은 값을 갖도록 만들어진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Kernel을 어떤 함수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N-W kernel-weighted average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아래의 그림에서는 위의 식과 같은 Epanechnikov kernel을 kernel로 설정하였다. 식을 보면 $x$가 $x_0$로부터 멀 수록 $K_\lambda(x_0,x)$의 값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ernel 함수 $K_\lambda (x_0,x_i)$는 연속함수이고, 그에 따라 weighted average의 weight도 연속함수이기 때문에, $k$-NN으로 도출한 $\hat{f}(x)$와는 달리 smooth한 특징을 보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점은 위의 $30$-NN의 그림과 같이, $x=x_0$에서의 fitted value $\hat{f}(x_0)$의 계산에 영향을 준 점들인데, $30$-NN보다 더 많은 점들이 고려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노랑색으로 색칠된 부분이 나타내듯, 가까운 점일 수록 더 높은 가중치로 반영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상의 노랑색 면적의 모양은 $D(t)$의 모양과 동일하다.) 그런데, 위의 식을 잘 살펴보면 Kernel 함수 안에 있는 $\lambda$가 Kernel이 양의 값을 갖는 영역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은 $\lambda=0.2$를 사용해서 그린 그림이다. 여기서 $\lambda$의 값을 증가시키면 더 많은 점들이 $ \mid \frac{\mid x-x_0\mid}{\lambda} \mid \le 1$을 만족하여, 더 많은 점들에서 $K_\lambda (x_0,x)$의 값이 양수가 될 것이고, 한 점 $x=x_0$에서의 fitted value를 계산할 때 더 많은 점들의 함수값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lambda$는 주어진 Kernel에서 neighborhood의 너비를 결정하는 parameter이다.
위의 예시에서는 fitted value를 구할 때 모두 동일한 neighborhood 너비를 적용했지만, 이를 $x_0$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어, 각 $x_0$값들에 대해 서로 다른 neighborhood 너비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 때 Kernel 함수의 식은 아래와 같다.
\[K_\lambda (x_0,x)=D \Big( \frac{\mid x-x_0\mid}{h_\lambda (x_0)} \Big)\]neighborhood 너비를 결정하는 parameter $\lambda$가 변함에 따라, kernel smoother $\hat{f}(x)$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 모형의 bias와 variance의 측면에서 생각해보자. $\lambda$의 값이 크다면, fitted value $\hat{f}(x_0)$의 값을 결정할 때 $x_0$로부터 더 먼 점들까지 고려하게 된다. 더 많은 점들에 대해 평균을 내어 fitted value를 결정하기 때문에, $\hat{f}(x)$의 variance는 낮아질 것이다. 또한, 우리는 $x=x_0$에 대해 neighborhood를 설정하고, 그 neighborhood 내에서는 true function이 constant라고 가정한 채 $y_i=f(x_i)$들의 average를 구한 뒤, 이를 $x=x_0$일 때의 $\hat{f}$값으로 설정한다. $x=x_0$로부터 먼 $x_i$일 수록 $y_i=f(x_i)$가 $f(x_0)$와 가깝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hat{f}(x)$는 neighborhood가 넓을 수록 높은 bias를 가질 것이다. 반대로 $\lambda$의 값이 작다면, $\hat{f}(x)$의 variance는 더 높을 것이고, bias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Kernel의 parameter $\lambda$의 최적 값을 결정해주어야 한다.
모든 $x$값에 대해 동일한 neighborhood 너비를 적용하는 경우( $h_\lambda (x_0)=\lambda$ ), Bias는 fitted value를 구하고자 하는 $x_0$ 주변의 training data의 density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만 같은 크기의 neighborhood 너비를 사용한다면, training data가 더 많이 모여있는 곳(high density)에서는 training data가 드문드문한 곳(low density)보다 더 많은 점들의 함수값을 평균내서 fitted value를 구할 것이고, 그때의 estimate $\hat{f}(x_0)$는 variance가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다. 따라서, 어떤 한 점에서의 estimate $\hat{f}(x_0)$의 variance는 그 점 $x=x_0$에서의 density와 역비례관계(inversely proportional)에 있다.
6.1.1 Local Linear Regression
우리는 간단한 moving average인 $k$-nearest neighbor 방법을 먼저 소개했고, 이 $k$-NN 방법은 weight가 불연속적으로 변해 그 fitted value의 결과 또한 울퉁불퉁한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한 점 $x_0$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가까운 점일 수록 더 큰 값을 갖는 Kernel 함수와 그를 이용한 weight를 도입함으로써, 우리는 weight가 연속적으로 움직여 smooth한 $\hat{f}$를 도출하는 locally weighted average를 통한 Kernel smoother를 학습하였다. 그런데 위의 N-W average와 같은 kernel smoother는 여전히 문제가 있다.
Training set의 boundary의 근처의 점 $x_0$에서의 fitted value를 구할 때, 위의 그림과 같은 경우처럼, Kernel이 양의 값을 갖는 구간의 한 쪽이 boundary 밖으로 나가게 되어 kernel함수가 비대칭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로 boundary에 가까운 구간에서는 비대칭적으로 weight가 부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위 경우는 파란색으로 그려진 true function $f$가 $x=x_0$ 주변에서 증가함수이고, $x_0$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점들이 비대칭적으로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x=x_0$에서의 fitted value $\hat{f}(x_0)$가 true function $f$보다 위쪽으로 biased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 linear regression은 이와 같은 kernel asymmetry에 따른 boundary 부근의 bias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N-W average와 같은 Local average 방법은, fitted value를 구하고자 하는 $x=x_0$에 대해 neighborhood를 설정하고, 그 neighborhood 내에서는 true function $f$가 constant라고 가정한 채 average를 구한 뒤, 이를 $x=x_0$일 때의 $\hat{f}$값으로 설정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하지만 true function $f$는 해당 neighborhood 내에서 constant가 아니기에, boundary 근처에서 kernel이 비대칭이 되면 bias가 생기는 것이다. Local linear regression은 이 bias를 first-order까지 완벽하게 보정한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하기로 하고, 먼저 local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kernel smoother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fitted value를 구하고자 하는 점, $x_0$를 기준으로 training data $(x_1,y_1)$, $…$ ,$(x_N,y_N)$에 대한 Kernel 함수값 $K_\lambda(x_0,x_1)$ , $…$ ,$K_\lambda(x_0,x_N)$를 구한다.
- 각 점에서의 Kernel 함수값 $K_\lambda(x_0,x_i)$를 Kernel 값들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 $x=x_0$의 fitted value를 구하기 위한 각 training data 점들의 weight이다.
- N-W average와 같은 Local kernel-weighted average 방법에서는 이 weight값들을 이용해 $y_1,…,y_N$를 가중평균한 값이 $x=x_0$의 fitted value, $\hat{f}(x_0)$였다. Local linear regression에서는 이 weight값들을 이용해 $(x_1,y_1)$, $…$ ,$(x_N,y_N)$에 대한 weighted least squares를 수행한다.
- weighted least squares로 구한 회귀선이 $x=x_0$에서 갖는 값을 $x=x_0$의 fitted value, $\hat{f}(x_0)$로 설정한다.
- 이와 같은 방법을 정의역 내 모든 $x$에 대해 수행하여 얻은 함수 $\hat{f}(x)$가 Local linear regression으로 얻은 Kernel smoother이다.
따라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x=x_0$의 fitted value, $\hat{f}(x_0)$를 구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최소화 문제를 푸는 것과 같다.
\[\Big( \hat{\alpha}(x_0),\hat{\beta}(x_0) \Big)=\min_{\big( \alpha(x_0),\beta(x_0) \big)} \sum_{i=1}^{N} \frac{K_\lambda (x_0,x_i)}{\sum_{i=1}^{N} K_\lambda (x_0,x_i)} [y_i-\alpha(x_0)-\beta(x_0)x_i]^2\] \[=\min_{\big( \alpha(x_0),\beta(x_0) \big)} \sum_{i=1}^{N} K_\lambda (x_0,x_i) [y_i-\alpha(x_0)-\beta(x_0)x_i]^2\] \[\Rightarrow \enspace \enspace \hat{f}(x_0)=\hat{\alpha}(x_0)+\hat{\beta}(x_0)x_0\]Weighted least square의 수행 결과를 행렬과 벡터 표기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 \hat{f}(x_0)$는 아래와 같다. $\mathbf{B}$는 design matrix 역할을 하는 $N \times 2$ 행렬이고, $\mathbf{W}(x_0)$는 N개의 weight들(Kernel 값)을 대각항에 둔 $N \times N$ 대각행렬이다.
\[b(x)^T=[1 \enspace x] \enspace , \enspace \enspace \mathbf{B}= \begin{bmatrix} \enspace & b(x_1)^T & \enspace \\ \enspace & \vdots & \enspace \\ \enspace & b(x_N)^T & \enspace \\ \end{bmatrix} \enspace , \enspace \enspace \mathbf{W}(x_0)= \begin{bmatrix} K_\lambda (x_0,x_1) & \enspace & \mathbf{0} \\ \enspace & \ddots & \enspace \\ \mathbf{0} & \enspace & K_\lambda (x_0,x_N) \\ \end{bmatrix}\] \[\Rightarrow \enspace \enspace \hat{f}(x_0)=b(x_0)^T \big( \mathbf{B}^T \mathbf{W}(x_0) \mathbf{B} \big)^{-1} \mathbf{B}^T \mathbf{W}(x_0)y\] \[\Rightarrow \enspace \enspace \hat{f}(x_0)=\sum_{i=1}^{N} l_i(x_0)y_i\]위 식들의 마지막 형태, $\hat{f}(x_0)=\sum_{i=1}^{N} l_i(x_0)y_i$는 local linear regression으로 얻은 ($x=x_0$에서의) true function $f$의 estimate $\hat{f}(x_0)$가 $y_1$, $…$ , $y_N$에 대해 linear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x=x_0$에 대해 각 training data point $(x_1,y_1)$, $…$ ,$(x_N,y_N)$의 weight를 $l_1(x_0)$, $…$ , $l_N(x_0)$로 새롭게 정의하고, 그 weight들을 이용해 $y_1,…,y_N$를 가중평균해서 $\hat{f}(x_0)$를 얻은 것이다. 다만 이 새로운 weight들 $l_1(x_0)$, $…$ , $l_N(x_0)$은 기존의 weighting kernel $K_\lambda(x_0,x_i)$과 weighted least squares 작업을 반영한 weight이다. 따라서, $l_i(x_0)$를 equivalent kernel이라고도 부른다.
위 그림은 local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kernel smoother(녹색 곡선)를 그린 그림이다. 빨강색 선분으로 나타난 것이 weighted least squares로 얻은 직선이다. $x=x_0$에서의 regression line의 값을 $\hat{f}(x_0)$로 취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local average 방법과 비교했을 때, boundary 부근에서 bias가 생기는 문제가 대폭 해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Local linear regression은 kernel asymmetry로 인한 bias를 first-order까지 완전히 보정한다. $x=x_0$에서의 kernel smoother $\hat{f}(x_0)$의 bias를 구하기 위해, true function $f$의 $x=x_0$에서의 taylor 전개를 이용하여 $\hat{f}(x_0)$의 기대값을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ext{By Taylor expansion of} \enspace f, \enspace \enspace f(x)=f(x_0)+f'(x_0)(x-x_0)+\frac{f''(x_0)}{2!}(x-x_0)^2+R\] \[E[\hat{f}(x_0)]=\sum_{i=1}^{N} l_i(x_0)E[y_i]=\sum_{i=1}^{N} l_i(x_0)f(x_i)\] \[=f(x_0)\Big( \sum_{i=1}^{N} l_i(x_0) \Big) +f'(x_0) \Big( \sum_{i=1}^{N} (x_i-x_0)l_i(x_0) \Big) +\frac{f''(x_0)}{2!} \Big( \sum_{i=1}^{N}(x_i-x_0)^2l_i(x_0) \Big) +R \Big( \sum_{i=1}^{N} l_i(x_0) \Big)\]$l_i(x_0)$는 $\sum_{i=1}^{N} l_i(x_0)=1$과 $\sum_{i=1}^{N} (x_i-x_0)l_i(x_0)=0$를 만족한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보일 수 있다. 이를 대입하면 위 식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E[\hat{f}(x_0)]=f(x_0) +\frac{f''(x_0)}{2!} \Big( \sum_{i=1}^{N}(x_i-x_0)^2l_i(x_0) \Big) +R\] \[Bias[\hat{f}(x_0)]=E[\hat{f}(x_0)]-f(x_0) = \frac{f''(x_0)}{2!} \Big( \sum_{i=1}^{N}(x_i-x_0)^2l_i(x_0) \Big) +R\]$\hat{f}(x_0)$의 bias에는 $x_i$들에 대해 $2$차 이상의 항들만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Local linear regression으로 도출한 kernel smoother $\hat{f}(x)$는 bias를 first-order까지 완전히 보정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를 통해, kernel asymmetry로 인한 bias 발생 문제를 상당 부분 개선한다.
6.1.2 Local Polynomial Regression
위의 Local linear regression 방법을 통해, 우리는 bias를 first-order까지 완전히 보정한 kernel smoother를 얻었다. local하게 $2$차, $3$차, 혹은 $d$차 polynomial regression을 수행하면, bias를 더 높은 차수까지 완전히 없애, bias를 더 줄일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
\[\Big( \hat{\alpha}(x_0),\hat{\beta}_1(x_0), ... , ,\hat{\beta}_d(x_0) \Big)=\min_{\big( \alpha(x_0),\beta_1(x_0) , ... , ,\beta_d(x_0) \big)} \sum_{i=1}^{N} K_\lambda (x_0,x_i) \Bigg[ y_i-\alpha(x_0)-\sum_{j=1}^{d}\beta_j(x_0) x_i^j \Bigg]^2\] \[\hat{f}(x_0)=\hat{\alpha}(x_0)+\hat{\beta}_1(x_0)x_0 + \hat{\beta}_2(x_0)x_0^2 +... + \hat{\beta}_d(x_0)x_0^d\]Local linear regression에서 local $d$차 polynomial regression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local linear regression에서 first-order까지 bias를 없앤 것을 보인 증명과 유사한 방법으로, local $d$차 polynomial regression이 $d$차항까지 $\hat{f}(x_0)$의 bias를 완전히 보정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사진은 local linear regression과 local quadratic regression의 수행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위 그림에서 $x=0.4$ 지점과 같이 curvature가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2$차 이상의 bias가 유의미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local linear regression이 $1$차까지 bias를 보정하더라도 여전히 bias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 quadratic regression은 $1$차 뿐 아니라 $2$차까지 bias를 보정해주기 때문에, kernel smoother $\hat{f}(x)$의 bias를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local regression의 차수를 높여 얻은 bias의 개선은 variance의 상승을 대가로 얻어진다는 점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local $d$차 polynomial regression을 이용한 kernel smoother $\hat{f}(x)$의 variance는 아래와 같다. Training data가 $\sigma^2$를 분산으로 갖는 분포에서 iid하게 뽑힌 random sample임을 이용해 식을 전개하였다.
\[Var[\hat{f}(x)]=Var \Bigg[ \sum_{i=1}^{N} l_i(x_0)y_i \Bigg] \stackrel{\text{ind}}{=} \sum_{i=1}^{N} l_i(x_0)^2 Var[y_i] = \sigma^2 \Bigg( \sum_{i=1}^{N} l_i(x_0)^2 \Bigg)\]위의 local linear regression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면 $\sum_{i=1}^{N} l_i(x_0)^2$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bf{l}(x_0)$는 $N$개의 weight $l_i(x_0)$를 쌓은 벡터이다.
\[\sum_{i=1}^{N} l_i(x_0)^2= \| \mathbf{l}(x_0)\|^2 = \| b(x_0)^T \big( \mathbf{B}^T \mathbf{W}(x_0) \mathbf{B} \big)^{-1} \mathbf{B}^T \mathbf{W}(x_0) \|^2\]local $d$차 polynomial regression에서 $b(x)^T=[1 \enspace x \enspace \cdots \enspace x^d]$이고, $\mathbf{B}$는 design matrix 역할을 하는 $N \times (d+1)$ 행렬이다. local regression의 차수($d$)가 올라갈 수록, 더 큰 차원의 벡터들을 연산하게 되고, 그 결과가 되는 $\mathbf{l}(x_0)$ 벡터는 전체적으로 더 큰 값을 갖게 될 것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이를 엄밀하게 도출하는 것은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의 Exercise 6.3에서 다룬다. 아래의 사진은 local regression의 차수를 늘림에 따라 각 $x$에서의 estimate $\hat{f}(x)$의 variance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차수가 constant에서 linear, quadratic으로 올라갈 수록 variance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2 Selecting the Width of the Kernel
6.1에서 사용한 Epanechnikov(에파네크니코브?) kernel은 아래와 같은 식을 가진다.
\[K_\lambda (x_0,x)=D \Big( \frac{\mid x-x_0\mid}{\lambda} \Big)\] \[D(t)=\begin{cases} \frac{3}{4} (1-t^2) &\quad\text{if } \mid t \mid \le 1\\ 0 &\quad\text{otherwise} \\ \end{cases}\]이 Epanechnikov kernel의 경우, “kernel의 너비”란 kernel이 양의 값을 갖는 구간의 지름을 의미했다. 다른 kernel들은 “kernel의 너비”를 결정하는 parameter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할까?
- Gaussian kernel의 경우, mean은 기준이 되는 점 $x_0$를 의미할 것이고, standard deviation을 나타내는 parameter $\sigma$가 kernel의 너비를 결정하는 parameter가 된다.
- $k$-Nearest Neighbor 방법의 경우, $x_0$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k$개의 점들에 대해서만 $1$의 값을 부여하고 그 외의 점들에게는 $0$의 값을 부여하는 indicator function, $I(x \in N_k(x_0))$이 kernel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 때, kernel의 너비는 $k$가 결정한다. $k$가 클 수록 더 넓은 범위의 점들에 대해 $1$의 값을 부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Epanechnikov kernel의 예시에 대해 논의했던 것과 같이, kernel의 너비는 kernel smoother의 bias와 variance에 영향을 주며, kernel의 너비 parameter에 대해 bias-variance tradeoff관계가 존재한다. kernel의 너비가 좁으면, $\hat{f}(x_0)$는 더 적은 수의 $y_i$에 대한 가중평균(혹은 fitted value of weighted regression)일 것이다. 따라서 variance가 상대적으로 더 클 것이다. 또한, kernel의 너비가 넓을 때와 비교했을 때, 각 $(x_i,y_i)$들은 $x=x_0$로부터 가까운 point들만 선택이 되었을 것이므로,(혹은 가까운 point들에 더 큰 weight가 주어졌을 것이므로,) $E(y_i)=f(x_i)$가 $f(x_0)$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즉, bias가 더 작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kernel width parameter, $\lambda$의 값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까? 5.4와 5.5에서 smoothing spline의 regularization parameter $\lambda$를 고를 때 진행했던 논의를 여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확인했듯이, Local regression 역시 $\lambda$가 주어졌을 때, $y$에 대해 linear한 estimator이다.
\[\hat{f}(x_0)=b(x_0)^T \big( \mathbf{B}^T \mathbf{W}(x_0) \mathbf{B} \big)^{-1} \mathbf{B}^T \mathbf{W}(x_0)\mathbf{y} =\sum_{i=1}^{N} l_i(x_0)y_i= \mathbf{l}(x_0) \cdot \mathbf{y}\]6.3 Local Regression in $\mathbb{R}^p$
6.4 Structured Local Regression Models in $\mathbb{R}^p$
6.5 Local Likelihood and Other Models
6.6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6.7 Radial Basis Functions and Kernels
6.8 Mixture Models for Density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6.9 Computational Considerations
Reference
Hastie, T., Tibshirani, R.,, Friedman, J. (2001).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New York, NY, USA: Springer New York Inc..